본문 바로가기
스토리 작법_유튜브

[프레이밍 효과] 공들여 만든 캐릭터 이렇게하면 망한다

by 우동이즘 - Udonism 2025. 5. 2.
728x90

프레이밍 효과 라고하는 게 있어요.
같은 정보라도, 어떻게 표현하냐에 따라서
사람들 인식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스릴러를 만든다 가정했을 때요.
악당이 매력 있어야 보통 스릴러가 산다고 이야기하잖아요.
그래서 되게 공들여 악당을 만듭니다.
그런데 악당 등장씬을 이렇게 묘사하는 거죠.
그는 잔혹한 살인자다.
막 이런 식으로.
이러면 악당이 그냥, '아~ 얘 악당이구나.'
라고 생각하고 그냥 독자들이 기대감을 가지질 않겠죠.
아~ 그냥 악당.
그냥 나쁜 놈.
그는 오늘도 가족을 지키기 위해 칼을 든다.
이렇게 해야지 캐릭터성이 산다는 거죠.
입체적이잖아요 악당이지만.
자신의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타인의 가족은 얼마든지 살인할 수 있는, 일그러진 사랑.
얘는 대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는 걸까?
악역도 설명하기에 따라서,
프레이밍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입체성이 달라진다는 거죠.
사실 주인공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상으로 마저보기)

https://youtu.be/f268hOGTrzc

 

http://aladin.kr/p/iPuxX

 

스토리텔링 우동이즘의 잘 팔리는 웹툰, 웹소설 이야기 만들기 : 알라딘

이야기 발상 방법, 이야기 구조화 방법, 기획서 제작 방법, 기획서를 전문적으로 꾸미는 방법, 적절한 투고 분량을 정하는 방법 등 아마추어 작가나 지망생이 간과하기 쉽지만 프로 작가가 되기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