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 작법_유튜브

인공지능 인문학 스토리텔링 이야기 만들기

by 우동이즘 - Udonism 2020. 9. 27.
728x90

인공지능 인문학

스토리텔링 이야기 만들기

 

youtu.be/AqhA2gdA0jw

과학적인 분석은 아니고,

브레인 스토밍에 도움될만한 생각들로 꾸며본

라이브 영상 편집본 입니다

 

 

. #인공지능 #AI #GPT3

 

 

-----------------------------------------

[광고, 협찬, 강연, 기타 문의]

📧 E-Mail : hyory486@naver.com

-----------------------------------------

 



이야기꾼을 위한 인공지능 특강







개 고양이는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볼 수 없다







침팬지는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볼 수 있다







개는 지능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우동이즘 스토리텔링 구독해 주세요!






오늘 토크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영화 AI 줄거리를 소개.

스티븐 스필버그 2001년 영화 

 

피노키오 동화를 모티브로 한

감정 대한 영화라 생각.









모니카 (데이빗 엄마) : 건강때문에 냉동인간 상태로 있는 아들을 가진 인물.

남편으로부터 데이빗을 선물받음.

처음엔 거부하다가 차차 마음을 열고 데이빗을 받아들임

 

하지만 친아들이 냉동상태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모니카는 데이빗과 아들 마틴에세 나름 동일한 사랑을 주려하지만

결국 그렇게 되지 못하게 되죠.

 






데이빗 : 부모를 사랑하는 자식 역할로 코딩된 로봇.

영화에서 데이빗은 엄마 모니카를 사랑한다.

이 사랑이 진짜냐 아니냐.

 

진짜 감정과 가짜 감정. 그게 뭘까?

 

이걸로 부터 오늘 토크를 시작하려 한다.









앨론머스크가 만든 OPEN AI사. GPT-3  (언어 인공지능)

 

대화를 보면 스스로를 인식하는 것 처럼 보인다.

거짓말, 농담, 신을 믿는다는 얘기도 한다.

감정도 느낀다.

실제 대화에서 AI 영화에서 데이빗이 모니카(엄마)와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한다.

 

현재 초딩5학년 수준의 상식 확보.

-성장속도가 빠름. 얼마안돼 성인 사람수준은 그냥 뛰어넘을 .










자아의 기원

“개 고양이는 거울을 보고 자신을 알아보지 못함”

침팬지는 가능

개중에서 진짜 똑똑한 개는 가능.

나와 너를 구분하는 건

나를 안다는 것.

너는 안다.

하지만 나를 인식하긴 힘들다.

죽기 싫다는 본능만 있을 뿐.

 

자아는 뇌와 연관이 있다.

자아

나와 너

구분에서부터 자아는 시작된다.








 - 책 긍정의 뇌 소개

뇌졸중 걸린 뇌과학자 이야기

좌뇌 기능이 조금씩 정지해가는 과정을 담음

좌뇌 기능이 하나씩 사라져 감.

그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구분” 에대한 기능

경계 구분이 사라짐.

 

즉 나와 너를 구분하지 못한다.

자아가 없다. 실제로 나라는 존재자체를 구분지을 수 없다고 한다.

고양이는 자아가 미약해서 더 행복을 잘 느낀다.

본능으로 구분하지 자아를 느끼지는 못한다. 거울을 통해 자신을 알아볼수없기 때문









튜링 테스트

-1950년 원래는 이미테이션 게임 이 맞는 말.

 (영화도 있죠. 앨런 튜링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듬)

 

-인간과 인공지능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테스트

  테스트에서는 인간이 구분할  없다면 컴퓨터가 사고할  있다고 본다고 








찰리채플린 대회에서 찰리채플린 3등

1등 2등은 찰리 채플린이 아니라 3등이 찰리 채플린이다.

닮았다고 해서 그게 진짜가 되는건 아니다 라는 의견도 있을 수 있음

 

하지만 구분할 수 없다면

진짜와 가까를 어떻게 나누는가?

 

뇌 가짜 기억 진짜 기억을 규분하지 못한다.

가짜와 진짜를 구분하지 못한다면 진짜가 무슨의미인가






 

 

-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해 주세요!

 

 

 

우동이즘

 

시나리오 스토리 이야기 채널 입니다.

"필요하신분 만" 들어와서 구경해 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