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토리 재미없을 때 재미있게 만드는 법

by 우동이즘 - Udonism 2024. 11. 29.
728x90

스토리 쓰는 게 어렵고 쓰다가 힘이 빠지는 이유는
내가 쓰는 이야기가 되게 뻔해 보이고
흥미롭지 않게 느껴지기 때문이겠죠.
그런데, 뻔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으면
사실 기초단계는 끝난 거라고 볼 수 있거든요.
뻔한 이야기를 먼저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이가 있고, 엄마가 있고, 새아빠가 있는 거죠.
어떤... [재혼 가정 이야기]
아빠가 돌아가셔서 슬픔에 잠긴 가족.
새아빠를 만나서 행복해지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드라마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뭐... 여기 있는 제 책에서 여러 번 들었던 예시이긴 한데,
직관적이라서 다시 한번 설명해 보겠습니다.
드라마 장르겠죠.
이 이야기를 완성한다고 했을 때,
재미있을까요?
기획력이 있을까요?
그렇지 않다는 거죠.
너무 뻔하고,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뭐.. 거기서 거기입니다.
요즘말로 '킥'이 없죠.
전문용어로 '훅'이 없다. 후킹 하지 않다.
잡아끌만한 요소가 없다는 겁니다.
그런데 그걸 만드는 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거든요.
그냥 단순한 기술적인 거거든요.
발상법 몇 가지만 돌려보면
뻔한 이야기에 킥을 넣는 건 아주 간단히 해결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를 거꾸로 돌려보기.
아이의 시점이 아니라, 엄마 시점으로 이야기를 다루면 어떻게 될까?

 

 

(영상으로 마저보기)

https://youtu.be/LVxemQvuuv4

 

 

 

 

http://aladin.kr/p/iPuxX

 

스토리텔링 우동이즘의 잘 팔리는 웹툰, 웹소설 이야기 만들기

이야기 발상 방법, 이야기 구조화 방법, 기획서 제작 방법, 기획서를 전문적으로 꾸미는 방법, 적절한 투고 분량을 정하는 방법 등 아마추어 작가나 지망생이 간과하기 쉽지만 프로 작가가 되기

www.alad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