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 작법_유튜브

드라마 작가하려면 이건 좀 고쳐라!! 방송 드라마 작가되는 법. (전)MBC 드라마 국장 박성수 감독님

by 우동이즘 - Udonism 2024. 5. 10.
728x90

방송 드라마화 되기 좋은 이야기의 특성 같은 게 있을까요 혹시?
오히려 역설적으로 드라마에서는....
드라마 작가 관련해서는 정말 아는 게 없어서요.
방송국에서 드라마 작가를 하려면
어떤 루트를 통하는 게 가장 일반적일까요?
드라마 작가의 등용문은 공모전을 통해서 하는데요.
공모전에 당선되면 주최 측과 계약되어서 데뷔기회를 갖게 되죠.
많은 드라마 작가 지망생들이 공모전을 준비하고 있고요.
이 책에서도 공모전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표 한 장으로 다 안내하고 있거든요.
또 하나의 길은 '작가교육 아카데미'에서 보조작가라던지,

 

드라마 작가로 데뷔하는 경우도 있어요.
(1) 공모전, (2) 아카데미 두 개가 가장? / 기본은 공모전으로.
드라마 작가로서 갖춰야 할 한 가지가 있다면
어떤 게 중심이 되면 좋을까요?
드라마 작가가 갖춰야 할 요소에 대해서 하나가 있다면,
<스틸>이라고 이름 지을 때,
S.T.E.A.L 스틸.
S : Stedy (꾸준하게)
T : Try (도전하라)
E : Enjoy (과정을 즐기다)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A : Aware (알아차리다) 내 부족도, 훌륭한 것도 알아차리자.
L : Learn (배우다) 끝없이 배우는 겁니다.
드라마를 쓴다는 것은
글을 쓰고 작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배우고 인간을 배우고 나를 배우는 과정이다.
<스틸>은 꾸준히 도전하고 즐기되,
나의 잘남, 못남을 알아차리고
끊임없이 배우는 것이 드라마작가의 길이다.
드라마 작가로서도 중요한 거지만,

https://youtu.be/Ijg8fHJ5nlw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