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작법_유튜브

스릴러 만드는 법.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우동이즘 - Udonism 2021. 4. 9. 22:00
728x90


스릴러 만드는 법







스릴러 만들기 기본 팁 3가지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캐릭터 구분해서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스릴러에서 주인공은 

 






감정이입형 캐릭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자들이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을 할 수 있어야지 

 






약간 쫀득쫀득한 서스펜스 연출이 유리하기 때문인데요. 

 






쫓기는 상태, 뭔가 무력한 주인공이 

 






잡히지 않았으면 하는 그런 심리가 더 커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내가 뭔가 연출에 자신이 없다! 그러면 

 






가능하면 주인공을 감정이입형 캐릭터로 

 






설정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신세계>의 이정재 캐릭터도 

 






상대적으로 감정이입형 캐릭터에 해당하죠. 

 






그리고 감정이입형 캐릭터는 항상 이야기의 종반부에 

 






대리만족형 캐릭터로 변하면서 이야기가 끝이 나고요. 

 






하지만 주인공을 대리만족형 캐릭터로 만들고 싶다면, 

 






반드시 감정이입형 캐릭터를 

 






지켜야만 하는 인물로 넣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영화 <곡성>에서 

 






키워드는 "의심"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배우 곽도원은 처음에는 대리만족형 캐릭터로 등장해요. 

 






커다란 덩치, 경찰이라는 직업 무서울 게 없어 보이잖아요. 

 






근데 딸의 빙의를 기점으로 작은 의심들이 꽃피기 시작합니다. 

 






딸이 지켜야만 하는 감정이입형 캐릭터이기 때문인데요. 

 






대리만족 캐릭터를 약하게 만드는 약점이 

 






감정이입형 캐릭터가 되는 것이죠. 

 






악인들은 주로 그것을 이용하고요. 

 






<곡성>에서 곽도원이 대리만족형 캐릭터일 때는 

 






이 악마가 그저 힘없는 노인처럼 비치고 

 






심지어 죽임을 당할 뻔까지 하잖아요. 

 






되게 찌질하게 도망만 다니고. 

 




https://youtu.be/vJHFOecazjE